반응형
채근담5
[인간관계 명언] 사귐의 처음과 나중 외
채근담 중에서 사귐의 처음과 나중 사람을 사귈 때, 나중에 쉽게 멀어지는 것보다 처음에 친해지기 어려운 것이 낫다. 일을 할 때 나중에 어렵게 공들이는 것보다 서툴지만 처음에 조심하는 것이 낫다. 사랑이 깊으면 원수 되기도 쉽다 천금을 주고도 환심을 사기 어렵지만, 밥 한 끼로도 평생의 감사를 받을 수 있다. 무릇 사랑이 깊으면 오히려 원수가 되고, 지극히 박한 것이 변하여 기쁨이 되기도 한다. 깊은 은혜와 사소한 원한 남에게 받은 은혜는 그 은혜가 아무리 깊어도 갚지 않으면서 원한이 있으면 사소한 것으로도 보복을 하고, 남의 나쁜 일을 들으면 확실치 않아도 의심하지 않으면서 좋은 일에 대해서는 명백해도 의심하는 것은 인정이 매우 각박한 것이니 절대 경계해야 한다.[채근담] 인생의 주인이 되려면
인생의 주인이 되려면 인생은 원래 하나의 꼭두각시놀음이다. 한 가닥의 실도 엉키지 않고 자유롭게 감고 풀 수 있어야 하고, 스스로 나아감과 멈춤을 조절할 수 있어야 한다.[채근담] 세상의 단맛과 쓴맛을 모두 알아야 외
세상의 단맛과 쓴맛을 모두 알아야 세상에 들어가 일을 하려는 사람은 먼저 세상 밖의 풍광을 잘 알고 있어야 한다. 그래야 혼탁한 세상의 인연에서 벗어날 수 있다. 세상 밖으로 나가 세속에 물들지 않으려는 사람은 먼저 세상의 달콤한 맛을 잘 알고 있어야 한다. 그래야 적막함의 쓴맛을 견딜 수 있다. 은혜를 베풀 때는 드러나지 않게 사람이 은혜를 베풀 때 속으로 생각하지 않고 밖으로 드러내지 않는다면 곡식 한 알이라도 큰 은혜가 되지만, 남에게 도움을 줄 때 자기가 베푼 것을 따져 갚기를 바란다면 아무리 많은 돈을 주었어도 한 푼어치의 공도 이룰 수 없다 가난을 걱정하는 마음을 쫓아내라 더위를 없앨 수는 없지만 덥다고 짜증내는 마음을 없애면 몸이 항상 서늘한 마루 위에 있을 것이요, 가난을 쫓아낼 수는 없지..[채근담] 병들어보아야 건강이 보배인 줄 안다 외
병들어보아야 건강이 보배인 줄 안다 병이 든 후에야 건강이 보배인 줄을 알고, 어려움에 처한 후에야 평화가 복인 줄을 아는데, 이것은 미리 아는 것이 아니다. 복을 바라는 것이 화의 근본임을 알고, 삶을 탐내는 것이 죽음의 원임임을 아는 것, 이것이 탁견이다 후반 인생이 중요하다 기생도 늙어서 한 남편만 따르면 한평생의 분 냄새가 아무런 문제가 되지 않으며, 정숙한 부인도 백발에 실수를 하면 반평생 지켜온 절개가 모두 허사가 되고 만다. 옛말에 이르기를 "사람을 보려면 반생을 보라."고 하였으니, 이는 참으로 명언이다. 오랜 준비 하늘의 해처럼 빛나는 절의도 어두운 방 안 깊은 곳에서부터 길러온 것이며, 천지를 휘두르는 경륜도 깊은 연못에서 살얼음 밟듯 조심하여 준비한 것이다.채근담 명언 / 채근담 좋은 구절
반응형